Surprise Me!

[기업기상도] 기대 커져 맑은 기업 vs 기압골에 갇힌 기업

2023-08-20 4 Dailymotion

[기업기상도] 기대 커져 맑은 기업 vs 기압골에 갇힌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기 둔화 흐름이 일부 완화됐다는 정부 진단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내년도 경제성장이 1%대에 그친다는 비관적 전망도 나왔는데요.<br /><br />엇갈린 전망 속에 한 주 있었던 다양한 기업소식,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광복절 사면에 포함된 기업인들이 경기 회복에 진력하겠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자국민 한국 단체여행 허가 소식에 기대 커진 곳도 있었는데요.<br /><br />그러면 한 주 주목할 기업 뉴스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첫 맑은 기업 하나투어,모두투어 등 여행사들, 또 제주항공,진에어,티웨이 등 저비용 항공사 LCC들입니다.<br /><br />유커 귀환 소식에 순풍 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이 한국 포함 78개국의 자국민 단체관광 허용했습니다.<br /><br />사드 사태 뒤 6년여 만인데요.<br /><br />수혜 예상 업종 여럿이지만 코로나 사태로 초토화됐던 여행업계와 LCC들이 먼저 꼽히죠.<br /><br />중국 관광객이 100만 명 늘 때마다 경제성장률이 0.08%p씩 올라간다는 게 한국은행 분석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중국 경제상황이 심상치 않은데 얼마나 많이 오고 많이 쓸지 미지수란 점은 염두 둬야합니다.<br /><br />다음은 라면 원조 삼양식품입니다.<br /><br />2분기 실적 괜찮았던 식품업계 중 가장 두드러졌습니다.<br /><br />2분기 영업이익 440억, 1년 전 대비 61% 급증했고 1분기 거의 2배로 시장 예상치 뛰어넘었습니다.<br /><br />수출 중심이다보니 정부 압박 영향 적었고 수출 실적은 역대 최고였습니다.<br /><br />라면 외에 매운 소스까지 잘 팔렸다네요.<br /><br />시장은 미리 안 모양입니다.<br /><br />주가는 한 달 전 40% 이상 뛰었고 매운 볶음면 주도한 김정수 부회장 사면 발표일엔 상한가였습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먼저 3주째 먹구름 짙게 깔린 LH입니다.<br /><br />순살아파트 사태 뒷수습을 어찌할지 의문 들 정도로 악재가 이어집니다.<br /><br />철근 빼먹은 순살아파트 5곳 더 나와 임원들 사직서 쓴 것도 큰 일인데, 알고보니 임기 다 되거나 마친 경우라 비판 커졌습니다.<br /><br />문제 된 곳마다 LH 전관업체들이 설계,감리 싹쓸이한 사실도 드러나 남미 출장 중인 국토부 장관이 계약 중단 지시까지 내렸습니다.<br /><br />감리는 부실공사 막을 최후 보루라지만 퇴직자 일처럼 여겨져 전관 아닌 곳 맡기려해도 사람이 없다네요.<br /><br />단건 처방으로 해결될 일이 아닌 겁니다.<br /><br />다음은 대표 미디어기업 CJ ENM입니다.<br /><br />실적도 주가도 탈출구가 안보입니다.<br /><br />1분기도 나빴지만 2분기도 개선 없이 시장 예상보다 더 나빴습니다.<br /><br />매출은 1년 전보다 12%나 줄고 300억대 영업손실 냈죠.<br /><br />600만 명 들어야 본전이란 영화 '더 문' 실패 등 영화 부진에 OTT 티빙의 계속되는 적자, 광고 판매는 둔화, 좋은 게 별로 없었죠.<br /><br />전임 대표 때 20만원 육박했던 주가는 6만원선 지키기도 버겁습니다.<br /><br />CJ ENM 부진에 K-콘텐츠 위기론까지 나옵니다.<br /><br />위기시 구조조정도 필요하지만 콘텐츠 회사의 반전에는 대히트작 등장이 우선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엔 롯데,신세계,현대 백화점 3사입니다.<br /><br />보복소비 끝나고 불황 오며 실적 악화하자 시장 기대치가 낮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분기 매출은 제자리 걸음인데, 영업이익은 롯데 37%, 신세계 24%, 현대 28%씩 줄었습니다.<br /><br />불황속 고물가에 백화점 손님 늘 리 없고, 고성장 이끈 사치품, 이른바 명품 판매 증가율까지 격감한 탓입니다. 괜히 손님 줄세우고 오픈런 유도하며 없어 못파는 행세하던 곳들도 오픈런 없애고 전화, 온라인 예약 받는다죠.<br /><br />예견됐던 일입니다.<br /><br />중국 관광객 늘면 어쩔지 모르겠습니다만 거기도 경기 안좋죠.<br /><br />당분간 비포장길 갈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마지막도 유통 대표기업 이마트입니다.<br /><br />마트업이 한계 부딪혔다는 평가 있었지만 손실이 심상찮습니다.<br /><br />부동의 마트 1위이자 불황 때면 싼 것 찾고 기본소비는 해야해 경기방어주로 여겨졌던 곳인데, 2분기 시장 예상보다 나쁜 연결기준 530억 영업손실 나 증권가가 일제히 목표주가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주요 점포 폐점, 리뉴얼 등이 영향 미쳤고 인터넷쇼핑 손실 줄었지만 여전히 적자였습니다.<br /><br />스타벅스,신세계건설 등의 원가 부담도 한 이유라는데, 마트 자체 손실이 1년 전 4배 되며 이익 나기 시작한 쿠팡에 밀린 점, 눈여겨 봐야 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불황 타개가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살아나는 듯한 주택시장이 실제론 불황 초입이란 국책연구원 진단 있었고 중국 대형 부동산기업 부채 위기에 환율,수출도 걱정이죠.<br /><br />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 매어 쓸 수 없고 긴 호흡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PD 김선호<br />AD 이영은<br />송고 김종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